국민행복카드란?
신용, 체크등 금융기능이 있으며, 정부에서 지원하는 국가바우처를 한 장의 카드로 17종 바우처를 이용할 수 있는 카드입니다.(*보육료지원-아이행복카드와 호환됩니다.)
국가바우처는
국가가 복지 대상자에게 직접 현금이나 서비스, 물품을 제공하는 것 대신, 정해진 이용처에서 서비스 또는 물품으로 교환할 수 있는 이용권을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Q. 국가 바우처 지원사업 종류와 지원대상은 어떻게 되나요?
서비스별로 지원대상과 자격이 다릅니다.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임신 1회당 60만 원 이용권(국민행복카드, 고운 맘카드) 지원
-다태아 임산부는 100만 원 지원
2023.03.15 - [분류 전체보기] - 국민행복카드로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받기!
국민행복카드로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받기!
아이 임신준비부터 출산까지 걱정도 많고, 비용도 만만치 않은데요. 오늘은 정부에서 지원하는 임신 출산 진료비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 바우처란? 임신부의 건강관리
milrim.tistory.com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진료비:
임신 1회 당 120만 원 범위 내. 임신부가 산부인과 병·의원에서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하여 진료받은 급여 또는 비급여 의료비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소득분위 및 태아수에 따라 450,000원부터 ~ 최대 1,620,000원 지원
2023.03.15 - [분류 전체보기] - 국민행복 바우처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국민행복 바우처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결혼 후 임신준비와 함께 출산으로, 주변 지인들이 고민이 많은 데요. 출산 후 산모의 건강이 약해져 있는 상황에 신생아를 돌본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 막상 현실이 되면 어려움이 많습니
milrim.tistory.com
◇기저귀, 조제분유 지원:
월 64,000원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월 150,000원
◇첫 만남 이용권: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부터 최초 1회 200만 원 바우처
◇에너지 바우처:
1인 세대 : 137,200원
2인 세대 : 189,500원
3인 세대 : 258,900원
4인 이상 세대 : 347,000원
◇사회서비스 사업: (국민행복카드 중 전용카드로만 발급 및 시행하는 사업도 있습니다.)
1.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2.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아동, 청소년정서발달지원서비스
-아동, 청소년심리지원서비스
-노인 맞춤형 운동 서비스
-장애인, 노인을 위한 돌봄 여행 서비스
-장애인 보조기기 렌털서비스
-시각장애인 안마 서비스
-정신건강 토털케어 서비스
-자살 위험군 예방서비스
-아동, 청소년 비전형성 지원서비스
-장애인, 산모 등 건강취약계층 운동서비스
-비만 아동 건강관리 서비스
-성인 심리지원서비스
-보완대체의사소통기기 활용중재서비스
-청년마음건강지원사업
3. 가사간병방문지원사업
4. 장애아동가족지원사업
5. 발달장애인지원사업
◇아이 돌봄 지원사업:
-영아종일제 : 소득유형에 따라 월 36 ~ 91만 원 지원
-시간제 : 소득유형에 따라 시간당 1,625 ~ 4,875원 지원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 최대 126,000원 지원
2023.03.08 - [분류 전체보기] - 여성의 날, 생리용품 바우처 신청방법!
여성의 날, 생리용품 바우처 신청방법!
여성의 날을 맞이하여, 여성 청소년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가지고 왔습니다. 처음 시작하게 되는 날부터, 거의 평생을 하게 되는 것이 생리인데요. 안타깝게도 많은 아이들이 경제적 어려움
milrim.tistory.com
◇보육료 지원, 유아학비 지원:
어린이집, 유치원의 보육료 및 유아학비를 지원(지원대상자별 상이)
*추후 계속적으로 지원사업 추가 예정입니다.
Q. 국민행복카드 발급 대상 및 발급카드 종류는 무엇인가요?
바우처이용자가 아니어도 국민 누구나 카드사 영업점을 통해 신청, 발급이 가능합니다.
기발급자는 향후 바우처 서비스 이용 시 신청절차에 따라 신청하면 서비스 이용 가능합니다.
*바우처 서비스 이용 종료 후에도 금융카드(신용, 체크)로 계속 사용가능합니다.
●신용카드:만 19세 이상, 각 카드사별 자격심사, 모든 은행계좌가능, 카드사 영업점 방문, 홈페이지 또는 콜센터를 통해 신청하거나, 읍면동에서 서비스 신청 시 함께 신청 가능합니다.
●체크카드:만 14~19세 이상, 본인 명의 해당은행 계좌필요(은행, 우체국, 카드센터)
카드사 영업점 방문, 홈페이지 또는 콜센터를 통해 신청하거나, 읍면동에서 서비스 신청 시 함께 신청 가능합니다.
●전용카드:
-만 14세 미만, 만 75세 이상, 장애인 활동지원 중 발달장애인 및 지역사회서비스 중 정신건강 토털케어, 장애인, 노인 돌봄 여행, 치매환자 가족여행 대상자등 발급합니다.
-신용카드/체크카드 발급이 어려운 경우, 예외적으로 전용카드 발급합니다. (읍면동에서 서비스 신청 시 신청->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발급기관)
*국민행복카드 발급과 바우처 서비스 신청은 별개로 이루어집니다.
Q. 국민행복카드(신용, 체크) 발급 혜택이 있나요?
-한 장의 카드로 다양한 바우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연회비가 없습니다.(모든 국민행복카드는 연회비가 면제됩니다.)
-카드사별 신용카드/체크카드의 혜택을 그대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일부 체크카드의 경우 은행별로 발급 수수료가 있을 수 있습니다.
Q. 어떻게 신청하나요?
국민행복카드로 바우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은 후, 바우처 서비스 신청을 별도로 하여야 합니다.
- 국민행복카드 신청/발급받기(카드사 영업점 방문신청 또는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전화신청)
- 바우처서비스 신청하기(각 바우처 서비스별 신청서 온 오프라인)
*국가 바우처는 그 혜택과 운영기관이 다양한 만큼, 신청방법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를 이미 소지한 이용자는 카드발급절차 없이, 곧바로 각 바우처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 서비스는 각 대상자에 해당되어야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Q. 어떤 카드사로 신청할 수 있나요?
▼ BC카드(기업, 우리, 하나):
□기업은행
2023.03.22 - [분류 전체보기] - 기업 은행 국민 행복 카드 혜택
기업 은행 국민 행복 카드 혜택
IBK기업은행 국민행복카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카드 신청방법: ● 오프라인: 가까운 은행영업점 방문 (증빙서류 제출 필요) *신용카드는 온,오프라인 둘다 가능, 체크카드는 방문신청 ●
milrim.tistory.com
□우리은행
□하나은행
▼ 롯데카드
▼ 삼성카드
▼ KB국민카드
2023.03.19 - [분류 전체보기] - KB 국민행복카드 혜택
KB 국민행복카드 혜택
KB국민카드로 국민행복카드 발급 방법 온라인: KB국민카드 홈페이지 (https://card.kbcard.com/) 전화상담: 국민행복카드 전용 바우처 콜센터:1599-7900 오프라인: KB국민은행, KB국민카드 영업점 방문신청
milrim.tistory.com
▼ 신한카드
2023.03.25 - [분류 전체보기] - 신한 카드 국민 행복 카드 혜택
신한 카드 국민 행복 카드 혜택
신한카드 국민행복카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신한카드 국민행복카드 [신용카드] [ 카드 ] 국내전용, 국내외전용(VISA) 연회비 없음 가족카드 발급 불가 [ 신용, 체크카드 국민행복카드 신청방
milrim.tistory.com
Q. 국민행복카드를 이미 기보유 시 다른 서비스 신청 시 꼭 카드를 신청해야 하나요?
국민행복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 다른 서비스 신청 시 다시 카드를 신청하지 않고 기존 카드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Q. 국민행복카드 배송 및 사용등록방법은 무엇인가요?
●금융형 배송:
-신용카드: 국민행복카드 서비스 신청 시 신청자가 선택한 금융기관에서 카드발급 상담 전화로 자격확인 및 심사 후 3~7일 이내 배송 합니다.
-체크카드: 금융기관 방문 시 즉시 발급 가능, 발급이 불가능할 경우 별도 배송 실시합니다.
●사회서비스 전용카드 배송: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이 매주 월요일과 목요일에 카드를 발급합니다.(월 8회)
-카드 발급 후 1주일 이내에 우체국을 통해 카드 배송되면, 2회 방문 시에도 수취인 부재 시 주민센터로 배송합니다.
-전자바우처시스템(nevs.socialservice.or.kr)을 통해 배송현황 조회가능합니다.
* 조회결과 바우처 카드가 발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주 이내에 배송이 되지 않은 경우, 한국사회보장정보원 대표번호(1566-3232, 단축 4번) 또는 서비스 대상자 주소지 기준 읍・ 면・동 주민센터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국민행복카드 사용 등록방법:
-금융형 국민행복카드(신용, 체크): 카드사별 안내에 따른 등록이 필요하나, 바우처 서비스 결제를 위한 등록은 불필요합니다.
-사회서비스 전용카드: 별도의 사용 등록이 불필요합니다.
Q. 국민행복카드 재발급은 어떻게 하나요?
- 금융형(신용, 체크) 국민행복카드: 카드사 영업점 방문, 홈페이지 또는 콜센터를 통해 신청가능합니다. ( 읍・면・동 주민센터를 통한 신청은 불가합니다.)
- 사회서비스 전용카드: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서류 작성 하시면 됩니다. (신규 신청 시와 동일)
[분실 시 재발급신청]
-바우처 카드가 없는 경우 원칙적으로 서비스 불가합니다.
-사회서비스 전용카드의 경우, 별도의 수수료 없이 국고보조금으로 바우처카드 재발급비용을 충당하므로, 바우처 카드 보관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바우처서비스가 종료되더라도 바우처 카드는 보관해야 합니다.
[잔여량조회]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포털(www.socialservice.or.kr) 또는 ARS(1644-9911)에서 서비스 대상자별 바우처 잔량 및 사용내역 등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결제방법]
-제공인력이 서비스 제공 후 단말기로 바우처 카드 결제합니다.
※ 전자바우처시스템(nevs.socialservice.or.kr)에서 영수증 출력 가능합니다.
-지정 등록된 NFC칩 탑재 스마트폰으로 카드 인식 결제합니다.
-서비스 제공 당일에 결제해야 합니다.
-월 정부지원금 총액을 해당 월 서비스 제공 횟수로 나누어 서비스제공 회당 금액 결제합니다.
[바우처생성 및 소멸]
-매월 말일 22시에 생성되며, 생성된 바우처는 익일부터 사용 가능합니다.
※ 장애인 보조기기 렌털서비스의 경우 6개월분의 바우처 생성됩니다.
‑ 이월: 생성된 바우처는 해당 월의 익월까지는 이월되어 결제가 가능합니다.
‑ 소멸: 생성된 바우처는 해당 월의 익월 이후에는 소멸되어 바우처 결제 불가합니다. (단, 자격종료 시에는 자격종료일이 속한 월의 말일 24:00시까지만 결제가능합니다.)
-사업연도 전환에 따른 바우처 소멸: 지역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연도전환 시(매년 12월 31일) 모든 바우처 잔량이 소멸 처리됩니다.
*단, 매월 바우처가 생성되지 않고, 2개월, 3개월, 6개월 주기로 바우처가 생성되는 사업은 미사용바우처가 이월(소멸 후 다음연도 예산으로 미사용바우처가 재생성)
[본인부담금 납부 및 후원, 환급]
이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해당 월내에 서비스 가격의 본인부담금을 제공기간에 직접 반드시 납부하여야 함.
●납부 방법: 제공기관에 계좌 입금을 원칙으로 하되, 카드 및 현금 납부 가능합니다.
●본인부담금 후원:
-후원자가 후원금 수혜자를 특정 제공기관 이용자로 한정하거나, 제공기관에 직접 후원금을 지원하는 행위는 불가합니다.
-이용자의 본인부담금을 후원할 경우: 후원자가 이용자에게 후원금을 직접 지원하여, 이용자가 제공기관을 선택 후 직접 납부하도록 해야 합니다. ( *단, 본인부담금 감면 혹은 면제의 수단으로 후원금을 이용할 수 없습니다.)
●제공기관의 본인부담금 환급:
-이용자의 이용중단 또는 서비스 미제공분이 발생하면 환급됩니다.
-환급범위: 이용자의 이용 중단 후 또는 서비스 미제공분에 대해 환급됩니다.
-실시간 결제 서비스: 회당 본인부담금 납부액(월별 기 납부한 본인부담금/월 서비스 횟수)을 미 제공한 서비스 횟수를 곱하여 환급됩니다.
-월별 결제 서비스: 50% 이하 이용 시 본인부담금 50% 환급, 50% 초과 사용 시 환급되지 않습니다.
( *단, 이용자가 무단으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본인부담금 환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바우처 사용중지 사유]
- 본인포기의 경우: 중지전송된 당일 24:00까지만 결제(잔여바우처 소멸)
- 사망, 말소의 경우: 중지전송된 당일 24:00까지만 결제(잔여바우처 소멸)
- 자격종료의 경우: 종료일이 속한 월의 말일 24:00까지만 결제(잔여바우처 소멸)
- 판정결과(등급변경)의 경우: 종료일이 속한 월의 말일 24:00까지만 결제(잔여바우처 소멸)
- 바우처미사용(2개월간 연속)의 경우: 중지전송된 당일 24:00까지만 결제(잔여바우처 소멸)
- 교정시설입소의 경우: 교정시설 입소자로 중지전송된 일자 기중 중지 처리.
Q. 지원사업별 제품 판매점은 어떻게 되나요?
[기저귀, 조제분유 판매점]
◎온라인 판매점
-BC카드: G마켓, 옥션, 우체국쇼핑, 먼슬리씽, 페이북쇼핑
-삼성카드:삼성카드쇼핑, 국민행복 mall
-롯데카드: 올마이쇼핑몰(롯데카드온라인몰)
-KB국민카드: 국민행복 mall, 국카 mall
-신한카드: 국민행복 mall
◎오프라인 판매점
-BC카드: 나들가게, 이마트, PK마켓, 노브랜드, 홈플러스, GS25, GS더프레시
-삼성카드: 이마트, 홈플러스, GS25, GS더프레시, 노브랜드
-롯데카드: 롯데마트, 롯데 VIC마켓, 홈플러스, GS25, GS더프레시
-KB국민카드: GS25
-신한카드: GS25
*기저귀, 조제분유 오프라인 구매가 가능한 점포는 아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나들가게: 나들가게 홈페이지(www.sbiz.or.kr/nas/store/store.do?pageGubun=voucher)
롯데마트: 롯데카드 홈페이지(https://www.lottecard.co.kr/app/LPLIFEA_V100.lc)
이마트: 이마트 홈페이지(store.emart.com/branch/list.do)
이마트 트레이더스 홈페이지:(store.traders.co.kr/service/info02.jsp)
*이마트 에브리데이 사용불가
[생리대판매점]
◎온라인판매점
-BC카드: G마켓, 옥션, 먼슬리씽, 페이북쇼핑
-삼성카드:삼성카드쇼핑, 국민행복 mall
-롯데카드: 올마이쇼핑몰(롯데카드온라인몰)
-KB국민카드: 국민행복 mall, 국카 mall
-신한카드: 국민행복 mall
◎오프라인판매점
-BC카드: 농협하나로마트, 이마트, PK마켓, 노브랜드, 홈플러스, GS25, GS더프레시, CU
-삼성카드: 농협하나로마트, 이마트, PK마켓, 노브랜드, 홈플러스, GS25, GS더프레시, CU
-롯데카드: 롯데마트, 롯데 VIC마켓, 홈플러스, 농협하나로마트, GS25, GS더프레시, CU
-KB국민카드: GS25
-신한카드: GS25
[첫 만남 판매점]
※제외대상 판매점 외에 전 업종(온라인 구매 포함) 사용가능합니다.
유흥업소: 일반 유흥 주점업, 무도 유흥 주점업, 생맥주 전문점, 기타 주점업
사행업종: 카지노, 복권방, 오락실
위생업종: 안마시술소, 마사지, 사우나
레저업종: 비디오방, 노래방등
기타: 성인용품, 전자상거래상품권, 기타 상품권 등
면세점도 제외대상 판매점입니다.
*단, 결제 시 부분 취소, 할부 및 정기결제 불가합니다.
Q. 지원사업별 문의는 어디로 하나요?
[건강보험 임신, 출산 진료비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관련문의,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 관련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사회서비스 콜센터 1566-3232(선택 4번)
-관할보건소 찾기: https://www.e-health.go.kr/gh/heSrvc/selectHeOrgMainInfo.do?ctprCd=1&menuId=200087
-장애인활동지원: https://www.ableservice.or.kr:8443/
[청소년 산모 임신, 출산 진료비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관련문의]
-청소년 사이버상담센터 1388
[첫 만남 이용권 관련문의]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
[여성장애인 출산비용지원 관련문의]
보건 복지 상담센터 129
[국민행복카드(아이행복) 이용문의]
-아이사랑 헬프데스크 1566-3232(내선번호 1번)
-아이사랑보육포털: https://www.childcare.go.kr/
[기저귀 조제분유 관련 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관할보건소 찾기
https://www.e-health.go.kr/gh/heSrvc/selectHeOrgMainInfo.do?ctprCd=1&menuId=200087
[보육료 지원 문의]
보건복지 상담센터 129
[육아학비지원 문의]
고객지원센터 1544-0079
e-유치원시스템: https://www.childschool.go.kr/index.do
[아이 돌봄 서비스 지원 문의]
아이 돌봄 서비스 센터 1577-2514
아이 돌봄 지원사업: https://www.idolbom.go.kr
[사회서비스 바우처 문의]
http://www.socialservice.or.kr
[에너지 바우처 문의]
[복지, 국가바우처, 국민행복카드 문의]
복지로 홈페이지 : https://www.bokjiro.go.kr
댓글